맨위로가기

홍길동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길동(洪吉同)은 조선 연산군 시대에 활동한 실존 인물로, 허균의 소설 《홍길동전》의 모델로 알려져 있다. 그는 서얼 출신으로,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위하는 의적으로 묘사되며, 로빈 후드와 같은 인물로 인식되기도 한다. 홍길동의 출생과 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 기록과 《성호사설》 등에 등장하는 이름의 표기 차이, 아버지 홍상직의 사망 시점 등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홍길동은 충청도 일대에서 활동했으며, 1500년에 체포된 후 처벌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홍길동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영화, 드라마,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무법자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 한국의 무법자 - 전우치
    조선 시대 실존 인물인 전우치는 환술과 도술에 능하며 시에도 재능을 보였으나, 조정에서는 위험인물로 여겨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도교적이고 무정부주의적인 성향과 기이한 행적으로 인해 다양한 설화가 전해지며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된다.
  • 홍길동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홍길동 - 홍일동
    홍일동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 찬위를 도와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인순부윤, 호조참판 등을 역임했으며 술과 풀피리를 즐기고 호방한 성품과 뛰어난 식성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의 반란자 - 홍경래
    홍경래는 조선 후기 평안도에서 농민군을 이끌고 봉기한 지도자로, 평안도 지역 차별과 수탈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으나 관군에 패배하여 사망했다.
  • 조선의 반란자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홍길동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홍길동
원어 이름洪吉同
출생일1443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510년? (향년 67세)
국적조선
직업도적

2. 생애

홍길동(洪吉同)은 조선 연산군 때 활동한 도적떼의 우두머리로, 허균의 소설 《홍길동전》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실존 인물이다.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그를 임꺽정, 장길산과 함께 '조선의 3대 도둑'으로 꼽았으며, 조선 역사상 유일하게 외척 출신 도둑이라는 특징을 지닌다.[4]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홍길동을 탐관오리를 벌하고 핍박받는 백성을 위해 싸운 의적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그의 출생과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홍길동은 충청도 충주 일대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정3품 당상관첨지중추부사를 자칭하며 관가에도 거리낌 없이 드나들었다.[10] 이러한 그의 행동은 지방 관리와 유향소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조정에서는 1501년까지 관련자들을 잡아 조사하기도 했다.[12][6]

1500년(연산군 6년) 10월 22일, 홍길동은 강도 행위로 체포되었다는 보고가 처음 올라왔다.[6] 그러나 이후 그를 어떻게 처벌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다.

2. 1. 출생 및 가계 논란

홍길동(洪吉同)은 1443년전라도 장성현 아차곡에서 경성절제사(鏡城節制使) 홍상직(洪尙直)과 관기 옥영향(玉英香) 사이에서 태어난 얼자(孼子)로 알려져 있다.[5] 조부는 밀직부사 홍징(洪徵)이며,[7] 이복형은 홍귀동(洪貴童)·홍일동(洪逸童)이라 한다.[8] 그러나 이러한 출생 및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홍길동이 실존 인물이며, 한자 이름이 ‘洪吉同’이라는 것만 확인될 뿐, 출생 및 처단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1500년(연산군 6) 10월 22일 영의정 한치형 등이 강도 홍길동을 잡았다는 보고를 올리며 백성을 위한 해독 제거를 위해 그 무리를 다 잡도록 요청했다는 기록이 있다.

홍길동의 아버지로 알려진 홍상직(洪尙直)은 1424년경 사망한 것으로 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황윤석의 《증보해동이적 해중서생》을 근거로 출생을 추론하면, 홍상직 사망 후 20여 년이 지난 1443년경 홍길동이 태어나 활동하다가 1500년에 잡혔다는 기록이 있어, 홍길동은 89세에서 130세까지 살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장성군은 홍길동이 1443년전라도 장성현 아곡리 아치실 마을에서 태어나 1510년경 사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홍상직이 1424년에 사망했다는 기록과 상충된다. 장성군은 홍상직이 1423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경기도 파주군 적성(積城)에서 요양하다 1424년경 죽었다는 조선왕조실록 기록은 사실이 아니며, 이후에도 20여 년간 더 살면서 전라도 장성현에서 관기 '옥영향'(玉英香)을 취하여 1443년경 홍길동을 얻었다고 주장한다.

홍길동의 이복형이라는 홍일동(1412년 ~ 1464년)은 세종·세조 연간의 문신으로, 그의 딸은 조선 성종의 후궁이 되었다. 홍일동1464년 3월 13일 과음으로 사망했는데, 홍길동과의 출생 연도 차이가 30여 년이나 되어 이복형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홍상직은 1409년(태종 9) 대호군 신분으로 활을 쏘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1424년(세종 6) 경성(鏡城) 지방 국경 수비 직무 태만과 백성 핍박 혐의로 체포되어 참형을 언도받고 유배되었다가 추국과 장독의 후유증으로 경기도 파주군 적성에서 사망했다.

연세대학교 국문과 설성경 교수는 한국일보와의 대담(1997년 6월 25일)에서 홍상직이 모함으로 체포됐다 풀려났으며, 1424년경 사망한 것이 아니라 지방으로 낙향하여 1440년경 늦둥이 아들 길동을 얻었고, 실록 기록은 홍씨 집안의 체면 등을 고려하여 모호하게 기록한 것이 아닌가 한다고 주장했다.[9]

홍상직의 내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1409년(태종 9)대호군
1416년(태종 16)상호군 순제진병마사
1419년(세종 1)첨지돈녕부사
1420년(세종 2) 10월경성 절제사(鏡城 節制使) 제수, 기녀 옥영향(玉英香) 등장
1422년(세종 4) 12월야인 침입 소식에 백성들에게 목책 보호를 명했으나 따르지 않자 집을 불태움. 남도 병선 습격 소문에 백성과 서리들이 소란. 의금부 체포 후 제조 유정현의 뇌물 요구 거절로 옥에 갇혔다고 항변. 의금부는 참형에 해당되나 무고죄로 감형하여 경상도 동래로 귀양.
1423년(세종 5) 12월귀양에서 풀려나 향리인 경기도 파주군 적성에서 요양.
1424년(세종 6)국청 추국과 유배지 장독 후유증으로 사망.
1428년(세종 10) 10월 28일경기도 적성 사람 절제사 홍상직의 아내 문(文)씨가 남편 분묘 곁에 여막을 짓고 조석으로 상식(上食)을 올리며 대상(大祥)까지 분묘 곁을 떠나지 않고, 상제(喪制) 후에도 가까운 동리에 살면서 삭망(朔望)과 속절(俗節)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
1444년(세종 26) 7월함길도 도관찰사 정갑손에게 경성절제사 홍상직의 기녀 옥영향(홍길동 생모 추정) 등을 비밀히 추궁하고 관련자 추문 및 핵실(覈實)을 명했다는 기록.



「전라도 장성현 아곡리 아치실 출생」 주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견이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황윤석은 《증보 해동이적 해중서생》에서 홍길동의 거주지를 '장성(長成) 아차곡(亞次谷)'으로 표기했는데, 이는 현재의 '장성군(長城郡) 아곡리(阿谷里)'와는 무관하다. 《조선왕조실록》 및 각종 문헌에 나타난 '아곡(阿谷)'은 '소곡(小谷)'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한글 표현은 '아치실'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아(阿)'자를 차용하여 아곡(阿谷)이라 명명했다.
  •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홍상직의 고향은 경기도 적성(현재 파주시)이다.
  • 홍길동과 이복형이라는 홍귀동·홍일동의 한자가 다르고, 출생 연대도 맞지 않는다.
  • 《조선왕조실록》의 '洪吉同'과 《성호사설》의 '洪吉童'은 한자가 다르다.
  • 연산군 치세의 국사범 홍길동이 장성현 아곡리 아치실 출신이라면, 동시대 같은 마을 출신인 박수량김인후의 저술이나 잡록에 홍길동 또는 홍상직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점이 의문이다.
  • 조선 시대 전라도 장성현 기록에도 홍길동이나 홍상직에 대한 기록은 없다.

2. 2. 활동

역사 기록에 따르면 홍길동(洪吉同)은 처음 충청도 충주 일대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일반 도둑들과 달리 산속에 근거지를 두지 않았다. 홍길동은 정3품 당상관첨지중추부사를 자칭하며 무리를 이끌고 다녔고, 관가에도 거리낌 없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이는 그의 이복형인 홍일동이 실제로 당상관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이며, 형의 관복을 입고 당상관을 사칭한 것으로 추정된다.[10]

이러한 홍길동의 기세에 눌려 지방의 권농, 이정, 유향소의 좌수, 별감 등도 그를 알아볼 정도였고,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10] 이 때문에 조정에서는 홍길동에게 강상죄를 적용하였다.[11]

조정에서는 홍길동의 이러한 행동이 지방 관리와 유향소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1501년까지 관련자들을 잡아 국문하였다. 홍길동을 도운 죄로 잡힌 지방 관리 엄귀순(嚴貴孫)은 끝까지 혐의를 부인하다가 옥사했다.[6] 또한, 이 사건에 연루된 권농, 이정 같은 지방 관리들은 변방으로 유배되었다.[12]

조선 시대 얼자(孼子)였던 홍길동은 양반이 아니었기에 갓을 쓸 수 없었다. 홍길동과 같은 도당으로 여겨져 옥사한 엄귀손(嚴貴孫)은 당상 무관(堂上 武官)이었으나, 원래 노복(奴僕)과 재산이 없었는데 한양과 지방에 집을 마련하고 곡식을 3천 석에서 4천 석이나 소유한 것으로 보아 홍길동과 내통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당상무관 신분이었던 엄귀순의 행적이 실록에 비교적 자세히 기록된 점[13]으로 미루어 볼 때, 소설에서처럼 홍길동이 당상관 가문 출신이었다면 기록이 남아있을 것이나, 실제로는 그 정도 고위층과 관련이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조선 후기 실학자 성호 이익(李瀷)은 자신의 저서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홍길동이 현재의 황해도 일대인 서도(西道)에서 활동했다고 기록했다.

홍길동전에서 묘사된 젊은 의적 이미지와는 달리, 실제 홍길동은 1425년 또는 1443년생으로 추정되므로 도적 활동 당시 이미 50세를 넘긴 노인이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홍길동은 세종 (世宗 25年), 즉 1443년경에 태어났다. 그는 로빈 후드와 같은 인물로, 전라남도 장성군 아곡리 아치실 마을에서 태어난 양반이었다. 그는 홍상직(洪尙直)의 서자(孽子)이자 홍징(洪徵)의 서손이었다. 폭군 연산군 치세 동안, 전국에서 농민군이 일어났는데,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홍길동이 이끄는 농민군이었다. 그는 귀족의 옷을 입고 많은 무장한 농민들과 함께 관청을 공격했다.[4]

1500년(연산군 6년)에 강도 행위로 체포되었으며, 1510년경, 즉 중종 (中宗 5年) 5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홍길동의 한자(漢字) 이름은 洪吉同이며, 허균의 소설 『홍길동전』에 나오는 洪吉童과는 발음은 같지만 표기가 다르다.

2. 3. 체포와 최후

1500년(연산군 6) 10월 22일 영의정 한치형, 좌의정 성준, 우의정 이극균이 도적 홍길동의 체포 사실을 임금에게 처음 보고한다.[6]

같은 해 10월 28일 의금부 당상관 엄귀손이 홍길동에게 음식물을 받고 가옥을 구입해주고 산업까지 경영해주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엄귀손은 추포된 후 곤장 1백 대에 3천 리 밖으로 유배되고 고신(告身)을 회수당했다.[6]

연산군일기》에는 홍길동을 잡았다는 기사 외에 어떻게 처벌·처단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연산군일기』가 시대 상황 탓에 약간 누락된 부분이 많다고는 하나 다른 기록이 상세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쉽게 납득할 수 없는 점이다. 다만 훗날 조선 선조 때 홍길동과 같은 강상죄로 잡힌 이연수의 처리를 논하면서 홍길동의 예를 들어 도당을 나누어 가두고 심문하기를 청하는 것으로 보아 옥중에서 서로 말을 맞추었거나 일부는 탈옥했을 수도 있다.[6] 이후 그를 처단하거나 사망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처벌이 힘든 이유는 홍길동의 조카(홍일동의 딸)가 숙의 홍씨였기 때문으로, 홍길동이 선대 임금의 후궁의 숙부였기에 단순 노략질 정도로는 처벌이 어려웠다.[6]

홍길동은 1500년(연산군 6년)에 강도 행위로 체포되었으며, 1510년경(중종 5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4]

3. 역사적 평가와 의의


  • 홍길동전》에 등장하는 홍길동은 흔히 의적으로 평가받는데, 이와 관련해 영남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양학부 교수 박홍규는 자신의 저서 《의적 정의를 훔치다》에서 이 사람들이 설사 실제로는 의롭지 않았을지라도 백성은 이 사람들을 이용해 부정한 체제를 향한 저항을 꿈꾸었기에 의적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생명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18] 홍길동이 도적으로 활동하던 시기가 공교롭게도 조선왕조 역사상 최악의 폭군인 연산군의 치세기간이기 때문에 의적으로 포장되기도 매우 쉬웠다.

  •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조선 시대의 3대 도둑으로 장길산, 임꺽정과 함께 홍길동을 논하면서 이들의 이름이 장사꾼들이 맹서하는 구호에까지 들어와 있다고 적고 있다.[11]

  • 실존인물 홍길동은 《홍길동전》에 등장하는 홍길동과 달리 노인이었다. 홍길동의 생부 홍상직이 1424년에 사망했으므로, 홍길동은 1425년 이전 출생자여야만 한다. 홍길동이 체포된 해가 1500년이므로, 최소한의 나이에 체포되었다 하더라도 '''최소 만 75살 이상'''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1443년생이더라도 만 57살로 상당한 고령이다. 어떤 기준을 잡더라도 체포된 해를 기준으로 50살이 넘는 나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4. 소설 《홍길동전》

인조이식허균이 〈수호전〉을 본떠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지었다고 기록했고[1], 후세 사람들은 이를 근거로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홍길동의 이름을 '''홍길동(洪吉童)'''으로 다르게 기록했다.

황윤석은 《증보 해동이적 해중서생》에서 홍길동(洪吉童)이 재주가 뛰어났으나 국법 때문에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고 도망하였다고 기록했다. 박종현은 《실존 홍길동(洪吉童) 연구 (1986년)》에서 《홍길동전》의 홍길동(洪吉童)은 남양 홍씨로, 전라도 장성현 아곡리 아치실 마을에서 태어난 얼자(孽子)라고 주장했다.[14][15]

허균은 홍길동(洪吉同)을 통해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했다. 그는 백성을 항민, 원민, 호민으로 나누고, 홍길동(洪吉同)을 호민의 대표로 형상화하여 《홍길동전》을 지었다.[17]

4. 1. 《홍길동전》에 대한 비판적 시각

인조 때 택당 이식은 《택당선생 별집》 제15권 〈잡저〉 ‘산록’에서 허균이 〈수호전〉을 본떠 〈홍길동전〉을 지었다고 언급했다.[1] 이식은 서양갑과 심우영 등이 소설 속 행동을 따라 하다가 마을이 쑥밭이 되었고, 허균 자신도 반란을 도모하다 죽었다고 비판하며 이는 농아보다도 심한 응보라고 덧붙였다.[1] 후세 사람들은 이 글을 근거로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고 한다.[1]

여기서 주목할 점은 《홍길동전》 속 '홍길동'에 대해 《조선왕조실록》과 《택당선생 별집》 모두 '''홍길동(洪吉同)'''으로 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2]

5. 대중문화 속 홍길동

홍길동은 소설 속 허구의 인물이지만,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재창조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5. 1. 관련 작품

구분제목연도비고
드라마설중매1984년조형기
드라마홍길동1998년김석훈
드라마쾌도 홍길동2008년강지환, 이인성
드라마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2017년윤균상
영화인걸 홍길동1958년
애니메이션홍길동1967년
영화호피와 차돌바위1967년
영화홍길동 장군1969년
영화의적 홍길동1969년
영화홍길동1976년
영화우주전사 홍길동1984년
북한 영화홍길동1986년리용호
영화슈퍼 홍길동1988년심형래
영화슈퍼 홍길동 2 - 공초 도사와 슈퍼 홍길동1988년김정식
영화슈퍼 홍길동 31989년김정식
영화슈퍼 홍길동 4 - 짬뽕 홍길동1990년이창훈
영화슈퍼 홍길동 5 - 부채 도사와 홍길동1991년이봉원
영화슈퍼 홍길동 6 - 그림 도사와 홍길동1991년이봉원
영화슈퍼 홍길동 7 - 뚱녀 도사와 홍길동1992년김정식
영화황금칼과 홍길동1992년이봉원
영화슈퍼 홍길동 8 - 홍길동 도사학교1993년이봉원
영화홍길동 대 터미네이터1993년우승봉, 홍보경
애니메이션돌아온 영웅 홍길동1995년목소리:김민종
영화홍길동의 후예2009년
애니메이션홍길동 20842011년목소리:동호
드라마홍길동 어드벤처SBS 2008년목소리:엄상현
뮤지컬홍길동2010년성민, 예성
영화책벌레의 이야기2015년한주완


5. 2. 대중문화 속 홍길동에 대한 비판


  • 2008년 SBS에서 방영된 《홍길동 어드벤처》에서는 엄상현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readersne[...] 2015-04-03
[2]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024-05-21
[3] 서적 역사 속의 홍길동(洪吉同)과 소설 속의 홍길동(洪吉童) 역사비평사 2006
[4]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021-05-02
[5] 뉴스 [문학]홍길동은 정말 일본으로 건너갔나 https://news.naver.c[...] 동아닷컴 2001-05-02
[6] 서적 역사 속의 홍길동(洪吉同)과 소설 속의 홍길동(洪吉童) 역사비평사 2006
[7] 문서
[8] 문서 홍징(洪徵. ?~1388년) https://terms.naver.[...]
[9] 문서
[10] 서적 한국사 이야기 10: 왕의 길 신하의 길 한길사 2007
[11] 서적 홍길동은 실존 인물이 아니다? 책과함께 2008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깨진 링크 실존 홍길동 연구 http://society.kisti[...]
[17] 간행물 조선시대의 의적 서해문집
[18] 서적 의적 정의를 훔치다 돌베개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